본문 바로가기
육아

유아변비 발생원인, 증상, 해결방법

by 나연찡파파 2023. 7. 24.
반응형

 
 

유아변비 증상과 발생원인

유아변비는 유아기에 대변이 일반적인 주기보다 더 자주 나오지 않거나, 변이 단단하고 건조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유아의 소화 시스템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하루에 1회 ~ 3회 대변을 보고, 대변은 부드럽고 쉽게 배출됩니다. 하지만 유아변비가 있는 경우, 대변의 주기가 더 길어지고 대변이 단단하고 건조하여 배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유아변비의 주요 증상으로는 첫째, 대변의 주기가 일반적인 주기보다 길어지는 경우가 있고 둘째, 대변이 단단하고 건조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셋째, 아이가 대변을 배출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거나 넷째, 배변 시 통증이나 불편을 느껴 어려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배변 시 혈액이 섞인 대변이 나오는 경우 유아변비로 의심해봐야 하며, 혈액이 나오는 경우는 심각한 추가 질병이 있을 수 있어 즉시 전문의와 상담을 해야 합니다. 유아변비의 주요 발생원인으로는 유아의 식습관이 잘못되었거나, 섬유질 부족,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았을 때 발생이 잦으며 유아가 충분한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장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변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형제가 태어나거나, 이사를 하거나 어떠한 가정에서의 변화에 의해서 스트레스성으로 변비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아변비 해결방법

유아변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습관을 개선해줘야 합니다. 과일, 채소, 곡물 등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유도하여 변을 부드럽게 만들고 장 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어야 합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물을 자주 마시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 게 좋습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에는 현미, 보리, 옥수수 등과 같은 곡물과 땅콩, 아몬드, 호두 같은 견과류가 있으며  고구마, 당근, 양파, 고추, 시금치, 부추, 배추, 양배추, 상추 등과 같은 푸른 채소가 함양이 많고 미역, 다시마 같은 해조류가 있습니다. 변비발생 시 피해야 할 음식으로는 흰쌀밥과 면류, 인스턴트식품, 김이나 바나나처럼 탄닌이 많은 과일은 섭취량을 줄여야 합니다. 그리고 유아와 야외 활동 및 놀이 시간을 자주 가져 충분한 신체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게 변비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유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안정된 환경을 제공해줘야 합니다. 유아와 많은 대화와 소통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유아가 안전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아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도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유아변비 해결을 위한 부모의 역할

유아변비 해결을 위해서 무엇보다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첫째, 유아가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 곡물 등을 섭취할 수 있도록 올바른 식습관을 가르치고 다양한 식품을 소개하여 영양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또한 과도한 우유 섭취는 설사를 유발하기에 적당히 먹을 수 있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둘째, 유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이 많은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부모가 유도해야 합니다. 유아와 함께 공원에 가서 산책을 하거나 잔디밭에서 뛰어놀면서 장 운동을 도와줄 수 있고 그네를 타거나 미끄럼틀을 이용하는 등의 놀이도 장 운동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자전거 타기는 유아의 다리 근육을 움직이게 하고 장 운동을 돕는 좋은 놀이이기에 유아와 함께 자전거를 타고 주변을 탐험하거나 가벼운 산책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추가로 물놀이는 유아의 장 운동을 돕는 데 효과적입니다. 유아용 풀장이나 물놀이 장난감을 이용하여 유아와 함께 물놀이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물에 젖은 상태에서 유아의 신체가 더욱 편안해지고 장 운동이 원활 해질 수 있습니다. 셋째, 변비가 심리적인 요인일 수 있기에 유아의 감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아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을 최소화하고, 유아가 안전하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듯 부모는 유아의 건강을 책임지며 유아의 변비 해결을 위한 관심과 적절한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만약 기저귀 떼는 훈련 중에 변비가 생겼다면 기저귀 떼는 시기를 늦춰주는 것도 좋고 장기간의 대변이 정체됨으로 인해 감각이 둔해져 버린 대장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