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부모 때리는 아이 원인, 훈육방법, 부모역할

by 나연찡파파 2023. 7. 20.
반응형

 
 

부모 때리는 아이 원인

부모를 때리는 아이의 행동은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아이들은 아직 감정을 제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때때로 부정적인 감정이나 스트레스를 표출하기 위해 부모를 때리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감정적으로 제어가 되지 않아 분노, 불안, 혼란 등의 강한 감정을 경험하면서 이를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런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들은 주변 환경에서 행동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만약 아이가 가정이나 주변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자주 목격하거나 이를 실제로 경험한다면, 그 행동을 모방하여 부모를 때리는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가정적인 환경이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화목한 과정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아직 언어와 의사소통 능력이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필요나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워 부모를 때리는 행동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도 스트레스와 불안을 경험할 수 있기에 가정 내에서의 변화, 학교 및 유치원, 어린이집에서의 압박, 친구 관계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으며 이를 표출하기 위해 부모를 때리는 행동도 보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훈육방식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부모의 지도가 부족하거나 일괄성이 없을 경우, 아이들은 부모를 때리는 행동을 통해 경계를 설정하려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부모보다 우위에 있다고 느껴야 편안함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부모를 때리는 아이의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부모는 아이의 감정과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도와 훈육을 통해 아이의 행동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의 안전과 가정 내 평화를 위해서 부모는 이러한 행동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취해야 합니다. 

 
 

부모 때리는 아이 훈육방법

부모를 때리는 아이에 대한 훈육은 많은 부모들에게 어려운 과제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부모를 때리는 것은 부모에게 상처를 주고, 가정 내 평화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아이 훈육을 위해서 첫째,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에 공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불안하거나 분노를 느낄 때 때리는 행동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요구하는 사항을 잘 파악할 수 있어야 하고 그에 맞는 대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둘째, 아이와 대화하고 이해하려 노력해야 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어떤 행동이 적절하고 어떤 행동이 부적절한지에 대해 설명해줘야 합니다. 아이가 부모를 때리는 것이 문제 해결의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반복해서 말해줘야 합니다. 셋째, 아이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방법을 함께 찾아줘야 합니다. 아이가 부모를 때리는 대신, 말로 표현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넷째, 부모는 아이에게 좋은 모델이 되어야 하기에 항상 예의 바르고 존중하는 태도를 일괄되게 유지하고 문제 해결에 대한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줘야 합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훈육을 시도하였으나, 행동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상담 치료, 행동 치료 등을 통해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 잡을 수 있습니다. 

 
 

부모 때리는 아이에 대한 부모의 역할

우선 부모는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통제해야 합니다. 아이를 항상 존중하고 차분한 말투로 타이르듯 말해야 합니다. 부모의 폭력적인 행동은 아이에게 나쁜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부모는 일관성 있는 규칙과 지도를 제공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어떤 행동이 적절하고 어떤 행동이 부적절한지를 명확하게 알려주고, 그에 따른 규칙을 설정하여 함께 지킬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꾸준한 지도와 관심을 통해 아이의 행동을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야 합니다. 훈육은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모는 아이와의 대화와 이해, 대안 제시, 모델링을 통해 효과적인 훈육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제시해 드린 방법을 통해 부모를 때리는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고, 부모로서의 위신과 위엄을 보여줘야 하며 아이가 올바른 방향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계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