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아기의 발달단계 체크는 아기의 성장과 발달을 평가하고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아기의 발달은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감정적 측면에서 진행되며, 이러한 발달은 아기의 건강과 행복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아기의 발달단계를 체크하는 것은 아기의 발달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지원과 치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기의 발달단계 체크는 부모나 보호자에게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기의 발달단계를 체크하면서 부모나 보호자는 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아기의 발달에 필요한 환경과 자극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달단계 체크는 부모나 보호자에게 아기의 발달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고, 아기와의 상호작용과 소통을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0 ~ 3개월 : 머리 들고일어나기 / 앉아서 균형 잡기 / 손으로 물체 잡기
1~2개월 사이에 아기는 머리를 들고 일으키는 능력을 발달시키며 2~3개월 사이에 접어들면 아기는 앉을 수 있는 균형감을 발달시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3개월째에 접어들면서 아기는 손을 사용하여 물체를 잡으려 노력하고 어느 정도 반사신경이 생겨납니다. 초기 환경에서 부모는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응원해줘야 하지만 적당한 스킨십을 통해 유아의 감정적인 안정감을 제공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발달을 한 단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는 부모와 피부접촉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에 스스로 할 수 있도록 도우면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4 ~ 6개월 : 기어 다니기 / 서기
4~5개월 사이에 아기는 몸을 기울이고 팔과 다리를 사용하여 기어 다닐 수 있게 되며, 5~6개월에 접어들면 아기는 부모의 지원 없이 책상이나 테이블을 집고 스스로 서는 능력을 발달시킵니다.
7 ~ 9개월 : 아장아장 걷기
7~9개월 사이에 아기는 책상이나 테이블을 집지 않고 스스로 일어나며 부모의 지원 없이 스스로 걷는 능력을 발달시킵니다. 대부분 걸음마를 시작하는 시기로 걸음마를 연습할 때 손잡이나 보행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건들을 통해서 아기가 균형을 잡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행기를 사용할 때는 아기가 넘어져도 다치지 않도록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아기가 걸음마를 시도할 때는 동기부여와 격려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는 아기를 격려하고 계속적으로 칭찬해 주며 아기가 성공적으로 걸음마를 할 때 기뻐해주고 축하해줘야 합니다. 이렇게 호응을 한다면 아기는 자신감이 더욱 생겨나고 걸음마가 익숙해지도록 더욱 노력하게 될 것입니다.
10 ~ 12개월 : 바르게 걷기 / 달리기
10~12개월 사이에 아기는 발육상태와 내외부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걷는 능력을 향상해 달릴 수 있게 됩니다.
12 ~ 18개월 : 블록 쌓기 / 퍼즐 맞추기
12~18개월 사이에 접어들면서 아기는 블록을 쌓거나 퍼즐을 맞추는 능력을 발달시켜 스스로 놀이를 탐색하고 성취감을 느껴 장난감에 관심이 많아지는 시기입니다.
18 ~ 24개월 : 간단한 지시에 따라 행동하기
18~24개월 사이에 아기는 부모가 반복 학습을 통해 간단한 지시를 할 경우 부모의 말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됩니다. 어느 정도 부모의 말을 이해하고 행동으로 표현하는 시기입니다.
24 ~ 36개월 : 간단한 대화를 이해하고 응답하기
24~36개월 사이에 아기는 어느 정도 자기 의사를 표현하고 부모와 간단한 대화를 이해하고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킵니다. 호기심이 많아지고 자기 고집이 쌔지는 시기입니다.
36 ~ 48개월 : 간단한 문장을 구성하고 이해하기
36~48개월 사이에 아기는 간단한 문장을 구성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부모와 충분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훈육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아기의 발달단계 체크는 아기의 건강과 행복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정기적으로 체크하고 발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기의 발달에 대해 걱정이 있다면, 소아과 의사나 발달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언과 지원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무럭무럭 잘 크고 있을 테니 너무 걱정은 하지 맙시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적정 실내온도 및 습도설정 (0) | 2023.07.03 |
---|---|
베이비시터 고용 시 체크사항(필수) (0) | 2023.07.01 |
유아 월령별 장난감 고르는 방법 Tip (0) | 2023.06.30 |
산후조리원 선택할 때 꿀팁! (0) | 2023.06.29 |
신생아를 안을때 반드시 알아야할 방법 (0) | 2023.06.29 |